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spring
- apache.poi
- java
- 그리드
- 자동빌드
- mssql
- 자바8
- stream api
- docker
- Javascript
- DevOps
- sqlserver
- rabbitmq
- JPA
- Jenkins
- jqGrid
- poi
- 스트림
- 보안
- ci/cd
- 엑셀 업로드
- Stream
- MessageQueue
- ORM
- QueryDSL
- 자동배포
- mom
- 대용량 업로드
- JQuery
- 제이쿼리그리드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 메모장
[Jenkins] Ubuntu에서 Jenkins 삭제 본문
728x90
- Jenkins를 설치할 때 꼬이는 부분이 있어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해봅니다.
#. Jenkins 중지
sudo systemctl stop jenkins
-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Jenkins를 중지시킵니다.
#. Jenkins 패키지 제거
sudo apt-get remove --purge jenkins
- --purge를 이용하여 Jenkins와 해당 구성 파일들을 제거합니다.
#. 종속성 및 미사용 패키지 제거
sudo apt-get autoremove
#. Jenkins 관련 디렉토리 제거
sudo rm -rf /var/lib/jenkins
sudo rm -rf /etc/jenkins
sudo rm -rf /var/log/jenkins
- r은 recursive(재귀)로 폴더를 삭제하기 위해 재귀적 삭제를 의미
- f는 force(강제)로 액세스 권한이 없는 파일도 삭제한다는 의미
#. Jenkins 유저 제거
sudo deluser jenkins
sudo delgroup jenkins
- jenkins 자리에는 기존에 생성했던 유저 또는 그룹을 넣으면 됩니다.
#. jenkins 저장소 제거
sudo rm /etc/apt/sources.list.d/jenkins.list
- Jenkins 저장소를 시스템에 추가한 경우 소스 목록에서 제거
#. 확인
sudo find / -name "*jenkins*" -exec rm -rf {} \;
- 젠킨스라는 이름을 가진 관련된 남은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#. 업데이트 및 재확인
sudo apt-get update
jenkins --version
- jenkins --version으로 Jenkins가 설치되어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틀린 내용이 있거나 이견 있으시면 언제든 가감 없이 말씀 부탁드립니다!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728x90
'CI/C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enkins] Jenkins 토큰 설정 및 빌드 (0) | 2024.12.10 |
---|---|
[Jenkins] Jenkins 초기 설정하기 (0) | 2024.12.09 |
[Jenkins] Jenkins 설치하기(Ubuntu 24.04) (0) | 2024.1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