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그리드
- 보안
- stream api
- java
- MessageQueue
- ORM
- QueryDSL
- ci/cd
- Jenkins
- JQuery
- 자바8
- 스트림
- 자동배포
- 엑셀 업로드
- rabbitmq
- jqGrid
- 제이쿼리그리드
- poi
- DevOps
- 대용량 업로드
- spring
- JPA
- 자동빌드
- sqlserver
- Stream
- mssql
- apache.poi
- docker
- Javascript
- mom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 메모장
[Jenkins] Jenkins 설치하기(Ubuntu 24.04) 본문
728x90
- 빌드 및 배포 자동화를 위해 젠킨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우선 로컬에서 테스트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니 Ubuntu를 이용할 예정이며, Ubuntu 버전은 24.04 버전입니다.
- 데비안/우분투를 이용한 설치의 필수조건은 아래 공식문서에서 확인바랍니다.
https://www.jenkins.io/doc/book/installing/linux/
Linux
Jenkins –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, test, and deploy their software
www.jenkins.io
#. Jenkins GPG Key 받기
- GPG 키는 아티팩트와 통신의 보안과 무결성을 보장합니다.
이는 배포를 위해 서명된 아티팩트가 필요한 파이프라인이나 시스템 간 신뢰를 유지할 때 특히 중요하기에 보안 유지를 위해 GPG 키를 사용합니다.
sudo wget -O /usr/share/keyrings/jenkins-keyring.asc \
https://pkg.jenkins.io/debian-stable/jenkins.io-2023.key
- 하단부 경로에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#. Jenkins 저장소 정보 저장하기
- 아래 명령어는 Debian 패키지 저장소를 시스템에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첫 번째 줄은 저장소의 GPG 키를 지정합니다.
- 두 번째 줄은 젠킨스의 Debian 저장소 URL + 바이너리 파일 위치를 지정합니다.
- sudo tee 부터는 저장소 정보를 저장할 파일 경로를 입력한 내용입니다.
- /dev/null 은 불필요한 tee 명령어의 출력하지 않도록 합니다.
echo "deb [signed-by=/usr/share/keyrings/jenkins-keyring.asc]" \
https://pkg.jenkins.io/debian-stable binary/ | sudo tee \
/etc/apt/sources.list.d/jenkins.list > /dev/null
#. 업데이트 및 Jenkins 설치하기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jenkins
- Jenkins 바이너리가 업데이트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- 추가적으로 다른 업데이트도 됩니다.
#. Java 설치하기
- 젠킨스 사용을 위해 자바를 설치해줍니다.
- 또한 모든 자바 버전은 젠킨스와 호환되지 않기 젠킨스 요구에 따라 17버전으로 설치합니다.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fontconfig openjdk-17-jre
#. Jenkins 실행하기
- 먼저 데몬 프로세스를 만든 후 실행하도록 합니다.
- 실행 후 상태 확인을 해봅니다.
// 부팅 시 자동 시작 / 해제
sudo systemctl enable jenkins
sudo systemctl disable jenkins
sudo systemctl start jenkins
sudo systemctl status jenkins
728x90
- 위와 같이 동그라미에 초록 불빛이 들어왔습니다.
- 우측 끝을 보면 기본 포트인 8080으로 되어있습니다.
#. 포트 변경하기
- 기본 포트가 8080이기에 다른 프로세스와 충돌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- status에서 나오는 Loaded의 경로로 들어가 포트를 변경해 줍니다.
- 아래 명령어를 입력 후 포트를 수정한 뒤 Ctrl+x를 누르고 Y를 누른 뒤 엔터를 쳐주면 됩니다.
- nano는 기본적인 편집을 하기 위한 명령어이며, 고급 편집을 할 땐 vi를 입력하면 됩니다.
sudo nano /lib/systemd/system/jenkins.service
- 그 후 다시 시작한 뒤 상태를 살펴보면 정상적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udo systemctl start jenkins
sudo systemctl status jenkins
#. 리눅스 환경에서 젠킨스 및 자바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
#. 다음 포스팅에서 웹을 통해 초기 설정 및 빌드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틀린 내용이 있거나 이견 있으시면 언제든 가감 없이 말씀 부탁드립니다!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728x90
'CI/C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enkins] Jenkins 토큰 설정 및 빌드 (0) | 2024.12.10 |
---|---|
[Jenkins] Ubuntu에서 Jenkins 삭제 (0) | 2024.12.09 |
[Jenkins] Jenkins 초기 설정하기 (0) | 2024.12.09 |